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D드라이브생성
- 에라토스테네스의채
- 백준2251
- 중복조합
- 정올 1620
- 중복순열
- 알고리즘
- 순열
- 백준13458
- 코테준비
- 코테
- 재귀함수
- 볼륨 만들기
- 완탐
- Bfs와DFS
- 백준15652
- 알고리즘개념
- 삼성역테
- 정보처리기사
- BFS
- 백준
- N과M
- 완전탐색
- 전화번호속의암호
- 주사위굴리기2
- 파티션 크기 조정
- 자바
- java
- 23288
- 자바 코테
- Today
- Total
뚱땅뚱땅
[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] 2.1.35 데이터저장소/데이터베이스/DBMS 본문
# 필기 참고: 2020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2. 소프트웨어 개발 >1.데이터 입.출력 구현
1. 데이터저장소
-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다루어야할 데이터들을 논리적으로 조직화 or 물리적인 공간에 구축한 것
- 논리 데이터저장소 & 물리 데이터저장소
- 논리 데이터저장소: 데이터 및 데이터 간의 연관성, 제약조건을 식별하여 논리적인 구조로 조직화한 것
- 물리 데이터저장소: 논리 데이터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 & 구조 ->소프트웨어가 운용될 환경의 물리적 특성 고려
-> 하드웨어적 저장장치에 저장한 것
- 논리 데이터저장소를 거쳐 물리 데이터저장소를 구축하는 과정 =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
2. 데이터베이스
- 의미 : 상호 관련된 데이터들 모임
- 통합된 데이터: 자료의 중복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
- 저장된 데이터: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
- 운영 데이터: 조직 업무를 수행하는데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없어서는 안 될 반드시 필요한 자료
(임시 자료는 운영 데이터로 취급 x )
- 공용 데이터: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
3. DBMS
- 사용자와 DB사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줌
-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
- 기존의 파일 시스템이 갖는 데이터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 해결위해 고안됨.
- 모든 응용 프로그램: DB 공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 줌.
- DB 구성, 접근 방법, 유지관리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진다.
- 필수 기능: 정의, 조작,제어 기능
- 정의 기능 : 모든 응프가 요구하는 데이터 구조 지원해야,..->디비에 저장될 데이터 타입, 구조에 대한 정의, 이용 방식, 제약조건 등 명시하는 기능
- 조작 기능: 데이터 검색, 갱신, 삽입, 삭제 등을 체계적으로 처리 위해 사용자와 DB 사이의 인터페이스 수단 제공
- 제어 기능: 무결성, 보안 유지 및 권한 검사, 병행 제어 (여러 유저가 디비 정급시 데이터 처리할 때 정확성 유지하기위해)
4. DBMS의 장단점
* 장점
- 데이터의 논리적, 물리적 독립성 보장
- 데이터의 중복 피할 수 있음 -> 기억공간 절약
- 저장된 자료를 공동으로 이용 가능
- 데이터의 일관성, 무결성
- 보안 유지
- 데이터 표준화
-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 가능
- 항상 최신의 데이터 유지
-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가능
* 단점
- 디비 전문가 부족
- 전산화 비용 !!
- 대용량 디스크로의 집중적인 액세스-> 과부하 발생
- 파일 백업,회복 어려움
- 시스템 복잡함
'아카이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] 2.1.37 절차형SQL (0) | 2020.03.27 |
---|---|
[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] 2.1.36 데이터 입,출력 (0) | 2020.03.27 |
[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] 2.1.34 자료구조 (0) | 2020.03.27 |
[알고리즘] 알고스팟 PICNIC 문제 (0) | 2020.03.27 |
[알고리즘] 알고스팟 BOGGLE문제 (0) | 2020.03.26 |